VIP와 함께 하는 전도부흥집회를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잘 마쳤습니다. 앞으로 VIP에게 어떻게 복음을 전하고, 전도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도움이 될만한 글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한국 가사원 원장이신 이경준 목사님의 글입니다.
“사람들이 논리적인 말을 듣고 믿음을 가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그래도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을 전도할 때, 저는 필요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명을 해줍니다.
모든 사람들의 공통된 문제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죄책감입니다. 얼마 전까지 코로나를 두려워하여 마스크를 쓰고 다닌 이유도 궁극적으로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평소에는 죄책감이 없어 보이지만, 사람들이 암에 걸리거나 교통사고나 화재 등 불의한 큰 사고를 당하면, 첫 번째 생각나는 것이 ‘내가 무슨 죄를 지었기에?’입니다. 또는 ‘우리 조상 중에 누가 죄를 지었기에?’ 아니면 ‘내가 전생에 무슨 죄를 지었기에?’입니다. 그만큼 죄책감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신앙입니다.
인류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을 들라면 보통 네 명을 듭니다. 보통 4대성인이라고 부릅니다. 소크라테스, 공자, 석가, 예수입니다. 이 분들의 가르침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이며, 공자의 경우 “인의예지신”이고, 석가는 “팔정도”입니다. 소크라테스가 말한 대로 “너 자신을 알라.”는 말은, 자신의 주제를 알라는 말이지, 말 그대로 윤리일 뿐, 구원과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공자의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이란, 인은 측은(惻隱)지심으로 불쌍한 것을 가엾게 여겨 정을 나누는 마음입니다. 의는 수오(羞惡)지심으로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악한 것을 미워하는 마음입니다. 예는 사양(辭讓)지심으로 겸손해 하며 남을 위해 사양하고 배려하는 마음입니다. 지는 시비(是非)지심으로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입니다. 신은 광명(光明)지심으로 중심을 잡고 가운데 바르게 섬으로써 밝은 빛을 냄으로 믿음을 주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모두가 사람이 바르게 살아야할 도덕을 가르치는 것이지 구원을 말하는 대목은 하나도 없습니다. 한 마디로 신앙이 아니라 도덕이요 윤리입니다.
우리가 다른 종교에 대해 무작정 반박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일입니다. 다른 종교를 그저 무시하지 말고, 다른 종교는 단지 도덕(윤리)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지혜롭게 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불교의 핵심이라고 하는 팔정도(八正道) 역시 그렇습니다. 정견(正見): 바르게 보기, 정사(유)(正思(惟)): 바르게 생각하기, 정어(正語): 바르게 말하기, 정업(正業): 바르게 행동하기, 정명 (正命): 바르게 살기, 정근 또는 정정진(正勤, 正精進): 바르게 노력하기, 정념(正念): 바르게 관찰하기, 정정(正定): 바르게 삼매(집중)하기. 모두가 도덕입니다. 성경의 잠언에 다 나오는 내용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으십니까? 무엇을 보아도 구원을 말하는 내용은 없습니다.
신앙은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인 죄책감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어느 종교이든 그들의 가르침을 보면, 어느 누구도 사람들의 죄 값을 치르기 위해서 대신 죽었다는 사람은 없습니다. 모두가 죄인이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정하신 대로 한 번 죽었을 뿐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우리 죄를 자기의 몸에 몸소 지시고서, 우리를 대신하여 나무에 달리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들을 얼마나 사랑하시는지 이보다 더 큰 증거는 없습니다.
또한 어느 누구도 죽은 자 가운데에서 다시 살아났다는 사람도 없습니다. 오직 예수님만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셨고, 지금은 하나님 우편에 앉으셔서 우리를 위하여 간구해 주십니다. 모든 것을 탕진한 후에 자기의 죄를 회개하고 집으로 돌아온 아들을, 아버지는 무조건 뛰어나가 맞이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탕진한 재산을 다시 벌기 전에는 집안에 들어오지 말라는 아버지가 간혹 있을 것입니다. 그런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다른 종교는 선행이든, 고행이든, 참선이든, 무언가를 요구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의 생각에서 나온 교리일 뿐입니다. 모두 이 세상을 바르게 살라는 도덕적인 가르침을 주었을 뿐입니다. 그러나 사람은 도덕적으로 죄가 전혀 없는 삶을 살 수 없습니다. 또한 착한 일을 많이 하거나 고행을 하거나 도를 많이 닦는다고 해서 자신의 죄 문제를 해결할 수도 없습니다. 모든 것을 탕진하고 돌아온 아들을 무조건 받아준 아버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죄 값을 다 치러주시기 위하여 예수님을 십자가에 내주시고, 우리를 값없이 받아주셨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님 밖에는 다른 아무에게도 구원은 없습니다. 예수님만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십니다.”
남기환 목사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
708 | "단기동역선교(단동선)" | 남기환목사 | 2025-01-11 |
707 | "2025년 우리교회 기도제목" | 남기환목사 | 2025-01-04 |
706 | "강하고 담대하라!" | 남기환목사 | 2024-12-28 |
705 | "새해 '119' 특별 저녁기도회" | 남기환목사 | 2024-12-21 |
704 | "연말연시 교회 주요 일정" | 남기환목사 | 2024-12-14 |
703 | "2025년도 사역박람회" | 남기환목사 | 2024-12-07 |
702 |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을 어떻게 전도할 것인가?" | 남기환목사 | 2024-11-30 |
701 | "왕좌에서 섬기는 종의 자리로!" | 남기환목사 | 2024-11-23 |
700 | "나들 목사님을 소개합니다." | 남기환목사 | 2024-11-16 |
699 | "세겹줄 특새-부활의 신앙" | 남기환목사 | 2024-11-09 |
698 | "VIP와 함께 하는 전도부흥집회" | 남기환목사 | 2024-11-02 |
697 | "섬김의 세 가지 차원" | 남기환목사 | 2024-10-26 |
696 | "가정교회의 핵심 가치" | 남기환목사 | 2024-10-19 |
695 | "평신도세미나, 왜? 어떻게?" | 남기환목사 | 2024-10-12 |
694 | "강단기도" | 남기환목사 | 2024-10-05 |
댓글